한국의 감귤 수출, 베트남에 주목

제주 감귤 농장을 운영하는 최동우 코삿 농업회사법인 대표는 베트남을 첫 번째 해외 수출지로 선택했습니다. 지난해 하노이에서 열린 KOTRA 한류박람회에 참석하여 감귤주스가 베트남인들의 입맛에 맞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작년 6월에는 6000달러 규모의 감귤주스 샘플을 베트남으로 최초 수출하였으며, 최근에는 하노이에서 제주 감귤 상품을 홍보하는 팝업스토어를 개장하였습니다.
최대표는 베트남 수출에 성공한 데에는 하노이 FTA활용지원센터의 도움이 컸다고 밝혔습니다. 높은 관세율(35%)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최대표는 센터의 안내를 받아 한국-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세율인 0%를 적용받을 수 있었습니다. 최대표는 "수출 경험이 없어 관세품목 분류표(HS Code) 등 기본적인 정보도 알지 못했습니다"라며 "베트남은 식품과 화장품에 대해 꽁보라 불리는 서류를 준비해 통관 과정에 제출해야 했는데, FTA활용지원센터의 도움으로 대부분의 수출 과정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KOTRA는 2015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FTA활용지원센터로, 현재 11개국에 16개의 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최대표가 이용한 하노이 FTA활용지원센터만으로도 1월부터 11월까지 685건의 지원을 받았으며, 글로벌 FTA센터 건수(4174건)의 16%를 차지하였습니다. KOTRA 관계자는 "베트남 지원센터는 기업들에게 있어 사랑방과 같은 역할을 하며 현지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KOTRA는 매년 1곳씩 FTA활용지원센터를 개설하고 있으며, FTA 체결국뿐만 아니라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국가 등 다양한 나라에 지원센터를 개설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들의 해외 수출 활동을 지원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최대표는 베트남 수출에 성공한 데에는 하노이 FTA활용지원센터의 도움이 컸다고 밝혔습니다. 높은 관세율(35%)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최대표는 센터의 안내를 받아 한국-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세율인 0%를 적용받을 수 있었습니다. 최대표는 "수출 경험이 없어 관세품목 분류표(HS Code) 등 기본적인 정보도 알지 못했습니다"라며 "베트남은 식품과 화장품에 대해 꽁보라 불리는 서류를 준비해 통관 과정에 제출해야 했는데, FTA활용지원센터의 도움으로 대부분의 수출 과정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KOTRA는 2015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FTA활용지원센터로, 현재 11개국에 16개의 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최대표가 이용한 하노이 FTA활용지원센터만으로도 1월부터 11월까지 685건의 지원을 받았으며, 글로벌 FTA센터 건수(4174건)의 16%를 차지하였습니다. KOTRA 관계자는 "베트남 지원센터는 기업들에게 있어 사랑방과 같은 역할을 하며 현지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KOTRA는 매년 1곳씩 FTA활용지원센터를 개설하고 있으며, FTA 체결국뿐만 아니라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국가 등 다양한 나라에 지원센터를 개설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들의 해외 수출 활동을 지원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Like
0
Upvote0
김한*
창업뉴스라고 왔더니 창업에 관련된게 하나도 없네요.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이동*
정말 최고예요!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