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선사업의 악마, 새클러 가문의 신성한 이름표
사회적인 것은 세상의 왕의 영역이다. 사회적인 것에 대하여 우리가 갖는 의무는 악을 제한하려고 애써야 한다는 것 뿐이다. .... 사회적인 것에 붙여진 신성의 이름표, 그 황홀한 혼합 속에 모든 방종이 들어있다. 변장한 악마.
-시몬 베유(Simone Weil)- 1) 거액 기부금 사절받은 새클러 가문
1892년 뉴욕에서 설립된 제약회사 퍼듀파마가 1952년 새클러(Sackler) 가문에 인수되었다. 포브스지 선정 미국 부호 19위, 가족 구성원 20명의 자산이 130억 달러(15조4천억원)에 달하는 부호 가문으로, 특히 미술계에 대한 자선사업으로 잘 알려졌다. 세계적인 미술관이나 갤러리의 기부자 목록에서 새클러라는 이름 석 자와 마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몇몇 사례를 들어보자. 새클러 가의 기부금 350만 달러로 인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고대 이집트 덴더 사원이 위치한 곳에 새클러 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스미스소니언에도 새클러 재단이 출연한 400만 달러와 1000여 점의 미술품으로 설립된 아서 M. 새클러 갤러리가 있다. 1985년 하버드 대학 미술관 산하에도 아서 M. 새클러의 이름으로 설립된 아시아 미술관이 있다. 새클러 가의 기부는 현대미술의 최전선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구겐하임 미술관(뉴욕)은 249만 달러를 받아 새클러 센터를 건립했다. 브루클린 미술관 안에 있는 엘리자베스 A. 새클러 여성주의 미술 센터는 아서 A. 새클러의 딸이자 브루클린 미술관의 이사인 엘리자베스 새클러가 창립자다.
퍼듀파머 사는 2020년 1월 브루클린 미술관에서 열렸던 데미언 허스트의 회고전 《알약들》전의 메인 스폰서였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 회고전은 허스트의 작품을 통해 약물 중독이나 과잉 사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는 전시로, 허스트는 그의 작품에 알약 모양을 많이 사용한다. 이 회고전의 스폰서로 새클러 가문의 기부금이 사용된 것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이었다. 이로 인해 퍼듀파마와 새클러 가문은 약물 중독과 관련된 불리한 시선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일부 미술관과 갤러리는 새클러 가문의 이름을 따르지 않기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스미스소니언 미술관은 새클러 갤러리를 아서 M. 새클러 갤러리에서 미술품 선물 장으로 변경했다. 이렇게 과거에 새클러 가문의 기부금으로 건립된 시설들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미술계의 사회적인 영향력과 자선사업의 모순적인 면을 보여준다. 예술과 자선은 사회적인 이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윤리적인 기준을 벗어나거나 논란을 일으킬 경우에는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앞으로는 자선사업의 목적과 효과를 철저히 검토하고, 사회적인 의문점이 제기되는 경우에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시몬 베유(Simone Weil)- 1) 거액 기부금 사절받은 새클러 가문
1892년 뉴욕에서 설립된 제약회사 퍼듀파마가 1952년 새클러(Sackler) 가문에 인수되었다. 포브스지 선정 미국 부호 19위, 가족 구성원 20명의 자산이 130억 달러(15조4천억원)에 달하는 부호 가문으로, 특히 미술계에 대한 자선사업으로 잘 알려졌다. 세계적인 미술관이나 갤러리의 기부자 목록에서 새클러라는 이름 석 자와 마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몇몇 사례를 들어보자. 새클러 가의 기부금 350만 달러로 인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고대 이집트 덴더 사원이 위치한 곳에 새클러 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스미스소니언에도 새클러 재단이 출연한 400만 달러와 1000여 점의 미술품으로 설립된 아서 M. 새클러 갤러리가 있다. 1985년 하버드 대학 미술관 산하에도 아서 M. 새클러의 이름으로 설립된 아시아 미술관이 있다. 새클러 가의 기부는 현대미술의 최전선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구겐하임 미술관(뉴욕)은 249만 달러를 받아 새클러 센터를 건립했다. 브루클린 미술관 안에 있는 엘리자베스 A. 새클러 여성주의 미술 센터는 아서 A. 새클러의 딸이자 브루클린 미술관의 이사인 엘리자베스 새클러가 창립자다.
퍼듀파머 사는 2020년 1월 브루클린 미술관에서 열렸던 데미언 허스트의 회고전 《알약들》전의 메인 스폰서였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 회고전은 허스트의 작품을 통해 약물 중독이나 과잉 사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는 전시로, 허스트는 그의 작품에 알약 모양을 많이 사용한다. 이 회고전의 스폰서로 새클러 가문의 기부금이 사용된 것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이었다. 이로 인해 퍼듀파마와 새클러 가문은 약물 중독과 관련된 불리한 시선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일부 미술관과 갤러리는 새클러 가문의 이름을 따르지 않기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스미스소니언 미술관은 새클러 갤러리를 아서 M. 새클러 갤러리에서 미술품 선물 장으로 변경했다. 이렇게 과거에 새클러 가문의 기부금으로 건립된 시설들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미술계의 사회적인 영향력과 자선사업의 모순적인 면을 보여준다. 예술과 자선은 사회적인 이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윤리적인 기준을 벗어나거나 논란을 일으킬 경우에는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앞으로는 자선사업의 목적과 효과를 철저히 검토하고, 사회적인 의문점이 제기되는 경우에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경찰 추락사 사건, 현장 동행자 15명 파악 23.09.01
- 다음글미국 청소년들의 성취 문화: 부딪히는 압박과 불안 23.09.01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