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의 그린비즈니스위크 2023에서 눈길을 끄는 두산에너빌리티의 기술 전시

두산그룹, GBW 2023에서 기술 전시...한국 혁신 에너지 산업의 선두 주자로 떠올랐다
두산그룹의 그린비즈니스위크 2023(이하 GBW 2023) 부스 앞을 지나치던 관객들은 한 번씩 걸음을 멈출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한국 표준형 원자로인 APR-1400의 모형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APR-1400은 신한울 3·4호기, UAE 바라카 원전 1~4호기 등에 적용된 국가대표급 원자로로, 원전 주기기의 국내 유일 전문 제작사인 두산그룹의 위상을 한눈에 보여줬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소재 생산, 기기 설계 및 제작,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 분야까지 원전 산업 전과정에 걸쳐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회사의 기술을 전시했다. 국내 460여 개 협력사와 함께 한국, 미국,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등에서 원자로 34기와 증기발생기 124기를 납품한 경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 원전 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도 강조되었다. SMR은 전기 출력 300㎿e(메가와트) 이하급의 원자로로, 건설 비용은 대형 원전의 30분의 1 정도인 3000억원에 그치며 중대사고 확률은 10억년에 1회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미래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원자력 주기기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전 세계 주요 SMR 개발사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상풍력 기술도 눈길을 끌었다. 두산그룹 부스에는 거대한 풍력발전기 모형이 돌아가고 있었으며, 3MW, 5.5MW, 8MW급 해상풍력 모델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8MW급 풍력발전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으며, 국내외에서의 수요 증가에 대비해 생산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두산그룹은 GBW 2023에서 다양한 에너지 분야의 기술력을 선보이며 한국 혁신 에너지 산업의 선두 주자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는 두산그룹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이를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두산그룹의 그린비즈니스위크 2023(이하 GBW 2023) 부스 앞을 지나치던 관객들은 한 번씩 걸음을 멈출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한국 표준형 원자로인 APR-1400의 모형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APR-1400은 신한울 3·4호기, UAE 바라카 원전 1~4호기 등에 적용된 국가대표급 원자로로, 원전 주기기의 국내 유일 전문 제작사인 두산그룹의 위상을 한눈에 보여줬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소재 생산, 기기 설계 및 제작,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 분야까지 원전 산업 전과정에 걸쳐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회사의 기술을 전시했다. 국내 460여 개 협력사와 함께 한국, 미국,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등에서 원자로 34기와 증기발생기 124기를 납품한 경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 원전 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도 강조되었다. SMR은 전기 출력 300㎿e(메가와트) 이하급의 원자로로, 건설 비용은 대형 원전의 30분의 1 정도인 3000억원에 그치며 중대사고 확률은 10억년에 1회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미래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원자력 주기기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전 세계 주요 SMR 개발사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상풍력 기술도 눈길을 끌었다. 두산그룹 부스에는 거대한 풍력발전기 모형이 돌아가고 있었으며, 3MW, 5.5MW, 8MW급 해상풍력 모델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8MW급 풍력발전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으며, 국내외에서의 수요 증가에 대비해 생산 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두산그룹은 GBW 2023에서 다양한 에너지 분야의 기술력을 선보이며 한국 혁신 에너지 산업의 선두 주자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는 두산그룹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이를 성공적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Like
0
Upvote0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김한*
창업뉴스라고 왔더니 창업에 관련된게 하나도 없네요.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