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GDP) 2분기 성장률 0.6%, 불황 우려 확산
2분기 국내총생산(GDP) 0.6% 성장, 불황형 성장 우려 커져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0.6% 증가하였다. 이는 1분기의 0.3% 성장 폭보다 크게 증가한 결과이다. 그러나 소비와 투자, 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하면서 불황형 성장 우려가 커졌다는 평가가 이루어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GDP를 구성하는 지출항목 중 8개 중 7개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민간소비는 -0.1%로 집계되었다. 1분기의 0.6% 성장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었다. 재화소비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음식, 숙박 등의 서비스 소비가 줄어들었다.
2분기 성장에는 1분기의 방역 조치 전환으로 소비가 몰렸던 기저효과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5월의 황금연휴 시기에 많은 비가 내려 소비가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았던 점도 민간소비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정부소비는 -1.9%를 기록하였다. 이는 지난 1997년 1분기 이후 26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한은은 감염병 환자 수의 감소로 인해 건강보험 지출이 줄어든 것이 감소의 주요 이유라고 밝혔다. 독감과 코로나19 환자 수가 1분기에 비해 적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역 요인은 3분기 이후에는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다만 정부 소비가 계속해서 감소할지, 다시 증가할지 여부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여부에 달려있다고 설명되었다.
투자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동반하여 감소하였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 부문의 감소로 -0.3%,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의 감소로 -0.2%를 기록하였다.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만이 유일하게 0.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재고는 성장기여도로 -0.2%를 기록하였다.
또한 순수출이 1.3%포인트를 끌어올려 수출과 수입은 모두 감소 전환하였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증가하였으나, 석유제품과 운수서비스 등이 감소하여 -1.8%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2분기 GDP 성장은 이전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소비, 투자, 수출과 수입의 감소로 인해 불황형 성장 우려가 커졌다. 특히 정부 소비의 감소와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여부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 동향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0.6% 증가하였다. 이는 1분기의 0.3% 성장 폭보다 크게 증가한 결과이다. 그러나 소비와 투자, 수출과 수입이 모두 감소하면서 불황형 성장 우려가 커졌다는 평가가 이루어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GDP를 구성하는 지출항목 중 8개 중 7개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민간소비는 -0.1%로 집계되었다. 1분기의 0.6% 성장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었다. 재화소비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음식, 숙박 등의 서비스 소비가 줄어들었다.
2분기 성장에는 1분기의 방역 조치 전환으로 소비가 몰렸던 기저효과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5월의 황금연휴 시기에 많은 비가 내려 소비가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았던 점도 민간소비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정부소비는 -1.9%를 기록하였다. 이는 지난 1997년 1분기 이후 26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한은은 감염병 환자 수의 감소로 인해 건강보험 지출이 줄어든 것이 감소의 주요 이유라고 밝혔다. 독감과 코로나19 환자 수가 1분기에 비해 적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역 요인은 3분기 이후에는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다만 정부 소비가 계속해서 감소할지, 다시 증가할지 여부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여부에 달려있다고 설명되었다.
투자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동반하여 감소하였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 부문의 감소로 -0.3%,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의 감소로 -0.2%를 기록하였다.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만이 유일하게 0.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재고는 성장기여도로 -0.2%를 기록하였다.
또한 순수출이 1.3%포인트를 끌어올려 수출과 수입은 모두 감소 전환하였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증가하였으나, 석유제품과 운수서비스 등이 감소하여 -1.8%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2분기 GDP 성장은 이전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소비, 투자, 수출과 수입의 감소로 인해 불황형 성장 우려가 커졌다. 특히 정부 소비의 감소와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여부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 동향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케이뱅크, 동행복권과 협력해 간편충전 서비스 도입 23.08.24
- 다음글기획재정부, 10일 재정동향 발표…관리재정수지와 국가채무 개선 악화 예상 23.08.24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김홍*
이게 나라냐!!
김한*
정말 대책없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