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다윈 LNG 터미널에서 CCS 허브 역할 부여
철기둥으로 만든 육중한 성
호주의 에너지기업 산토스가 운영하는 다윈 LNG 터미널은 지난 16일 현지시간에 방문한 내부로부터 굉음과 함께 느껴지는 육중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SK E&S가 25%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이 시설은 약 370만톤의 천연가스를 연간 처리할 수 있는 198㎡(60만평)의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어 압도적인 규모입니다. 귀마개를 뚫고 들어오던 굉음은 그 무게감을 더욱 실감하게 했습니다.
다윈 LNG 터미널에서는 빠져나온 지름 약 66㎝의 거대한 파이프라인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직선으로 뻗어나온 뒤 땅 속으로 파고들어가며 500㎞를 질주한 끝에 다윈과 동티모르 사이에 위치한 바유운단 가스전으로 연결됩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2005년 이후 다윈 LNG 터미널로 캐낸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통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산토스의 리차드 힝클리 호주 북부 및 동티모르 부사장은 이 파이프라인이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의 핵심 자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거대한 시설은 화석연료 시대의 적자라고 할 수 있으며 변신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자원개발에서도 저탄소가 중요해지는 가운데 바유운단 가스전의 고갈 문제와 다윈 북서쪽에 위치한 바로사 가스전 발굴이 타이밍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산토스와 SK E&S는 다윈 LNG 터미널을 넷제로(탄소순배출 0)의 열쇠를 쥐고 있는 CCS 허브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바로사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한 후, 바유운단 폐가스전 지하의 약 3km 두께의 사암층에 영구히 저장하여 저탄소 LNG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바유운단은 가스전이 아닌 1000만톤 규모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로 변모합니다. 자연스레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노력을 보여주는 이 프로젝트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에너지 생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좋은 예시입니다.
호주의 에너지기업 산토스가 운영하는 다윈 LNG 터미널은 지난 16일 현지시간에 방문한 내부로부터 굉음과 함께 느껴지는 육중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SK E&S가 25%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이 시설은 약 370만톤의 천연가스를 연간 처리할 수 있는 198㎡(60만평)의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어 압도적인 규모입니다. 귀마개를 뚫고 들어오던 굉음은 그 무게감을 더욱 실감하게 했습니다.
다윈 LNG 터미널에서는 빠져나온 지름 약 66㎝의 거대한 파이프라인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직선으로 뻗어나온 뒤 땅 속으로 파고들어가며 500㎞를 질주한 끝에 다윈과 동티모르 사이에 위치한 바유운단 가스전으로 연결됩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2005년 이후 다윈 LNG 터미널로 캐낸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통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산토스의 리차드 힝클리 호주 북부 및 동티모르 부사장은 이 파이프라인이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의 핵심 자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거대한 시설은 화석연료 시대의 적자라고 할 수 있으며 변신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자원개발에서도 저탄소가 중요해지는 가운데 바유운단 가스전의 고갈 문제와 다윈 북서쪽에 위치한 바로사 가스전 발굴이 타이밍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산토스와 SK E&S는 다윈 LNG 터미널을 넷제로(탄소순배출 0)의 열쇠를 쥐고 있는 CCS 허브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바로사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한 후, 바유운단 폐가스전 지하의 약 3km 두께의 사암층에 영구히 저장하여 저탄소 LNG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바유운단은 가스전이 아닌 1000만톤 규모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로 변모합니다. 자연스레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노력을 보여주는 이 프로젝트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에너지 생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좋은 예시입니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한국, 호주 바로사 프로젝트 지원에 깊게 연관 23.08.20
- 다음글삼성전자, 구글과 카카오게임즈와 게임 최적화 기술 협업을 진행 23.08.20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김홍*
이게 나라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