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2조6000억원 외화 교환사채 발행 예정...미래 성장기반 확충에 활용
LG화학이 이차전지 소재 등 투자자금 조달 목적으로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의 외화 교환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이는 LG화학이 미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됐다.
교환사채는 회사채의 한 종류로, 발행기업이 보유한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이다. LG화학의 외화 교환사채는 달러(USD)로 발행된다. 만기 이자율은 5년물은 0.75~1.25%, 7년물은 1.35~1.85% 수준으로 발행될 예정이다.
교환사채의 교환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다. LG화학은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 81.84%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다. 교환가격은 LG에너지솔루션의 이날 종가 55만원을 기준으로 한다. 1주당 5년물은 25~30%, 7년물은 30~35% 수준의 프리미엄으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 기준으로 전액 교환이 이뤄질 경우 교환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약 369만5000주다. LG에너지솔루션 발행 주식 총수의 약 1.6%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정확한 프리미엄 및 발행 금액은 투자자 모집 결과에 따라 다음날 오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외화사채 5년물 금리 대비 최대 4.6%포인트(p) 낮은 금리로 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 관계자는 "글로벌 금리 상승기에 저금리 자금 조달을 통한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화학은 확보한 자금을 미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에 주로 사용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친환경 소재,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 총 10조원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편 LG화학은 이 전 매체 보도로 2조원 규모의 LG에너지솔루션 지분 매각설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며 "3대 신성장 동력 투자를 위해 다양한 자금조달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LG화학이 이번 외화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 조달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이번 발행은 국내 기업에서는 대규모의 외화 교환사채 발행 중 최대 규모이며, 글로벌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시기에 저금리 자금 조달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교환사채는 회사채의 한 종류로, 발행기업이 보유한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이다. LG화학의 외화 교환사채는 달러(USD)로 발행된다. 만기 이자율은 5년물은 0.75~1.25%, 7년물은 1.35~1.85% 수준으로 발행될 예정이다.
교환사채의 교환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다. LG화학은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 81.84%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다. 교환가격은 LG에너지솔루션의 이날 종가 55만원을 기준으로 한다. 1주당 5년물은 25~30%, 7년물은 30~35% 수준의 프리미엄으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 기준으로 전액 교환이 이뤄질 경우 교환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약 369만5000주다. LG에너지솔루션 발행 주식 총수의 약 1.6%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정확한 프리미엄 및 발행 금액은 투자자 모집 결과에 따라 다음날 오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외화사채 5년물 금리 대비 최대 4.6%포인트(p) 낮은 금리로 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LG화학 관계자는 "글로벌 금리 상승기에 저금리 자금 조달을 통한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화학은 확보한 자금을 미래 성장기반 확충을 위한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에 주로 사용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친환경 소재,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 총 10조원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편 LG화학은 이 전 매체 보도로 2조원 규모의 LG에너지솔루션 지분 매각설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며 "3대 신성장 동력 투자를 위해 다양한 자금조달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LG화학이 이번 외화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 조달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이번 발행은 국내 기업에서는 대규모의 외화 교환사채 발행 중 최대 규모이며, 글로벌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시기에 저금리 자금 조달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과기정통부, 국내 양자과학 분야 최고 인재 스위스 파견 추진 23.07.11
- 다음글미래협력 강화, 방산 및 신재생 에너지 협력 논의…"노르웨이와 정상회담" 23.07.11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동*
정말 최고예요!
김샛*
정말이지 이런뉴스는 올리지 말아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