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산물 소비량 1위...그러나 국산 비중 점점 감소
한국, 세계 수산물 소비 1위…하지만 국산 비중은 줄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수산물 소비량(해조류 제외)은 1억5800만톤으로, 1961년에 비해 5배 이상 늘어났다고 합니다. 또한, 1961년 당시 아시아가 전체 소비량의 48%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현재는 72%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직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산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한국은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이 58.4㎏으로, 세계 주요국 중에서도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수산 강국인 노르웨이(53.3㎏)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까지는 세계 최대 수산물 소비국이었던 일본(50.2㎏)보다 많이 소비하고 있습니다. 2019년의 경우, 육류(56㎏)와 쌀(60㎏)보다도 수산물(69.8㎏)의 소비량이 많다고 합니다.
한국인들은 수산물을 매우 사랑합니다.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대구, 넙치와 같이 한정된 어종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어류, 패류, 해조류 등 식용 가능한 모든 수산물을 다양하게 즐기고 있습니다. 현재, 2021년 기준으로 약 182종의 수산물을 섭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연간 소비량이 가장 많은 상위 10개의 수산물은 오징어(5.4㎏), 새우(4.5㎏), 멸치(4.2㎏), 굴(2.2㎏), 명태(2.1㎏), 고등어(1.5㎏), 다랑어(1.5㎏), 넙치(1.1㎏), 갈치(1.0㎏), 낙지(0.7㎏)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국산 수산물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식탁은 글로벌화된 상황입니다. 오징어의 경우에는 칠레, 페루, 중국산이 대세이며, 최근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수입량이 전년 대비 4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서아프리카 문어, 노르웨이 고등어, 세네갈 갈치, 베트남 주꾸미와 같은 수산물을 식탁에서 마주하게 되는 것도 흔한 일이 되었습니다. 식탁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수산물 무역적자는 갈수록 늘어가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수산물 수출액은 116억 3905만 달러, 수입액은 275억 9900만 달러로 누적 적자가 159억 5995만 달러(약 17조 142억 원)에 이르렀습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산물을 소비하는 나라이지만, 국산 수산물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 대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수산물 소비량(해조류 제외)은 1억5800만톤으로, 1961년에 비해 5배 이상 늘어났다고 합니다. 또한, 1961년 당시 아시아가 전체 소비량의 48%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현재는 72%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직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산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한국은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이 58.4㎏으로, 세계 주요국 중에서도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수산 강국인 노르웨이(53.3㎏)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까지는 세계 최대 수산물 소비국이었던 일본(50.2㎏)보다 많이 소비하고 있습니다. 2019년의 경우, 육류(56㎏)와 쌀(60㎏)보다도 수산물(69.8㎏)의 소비량이 많다고 합니다.
한국인들은 수산물을 매우 사랑합니다.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대구, 넙치와 같이 한정된 어종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어류, 패류, 해조류 등 식용 가능한 모든 수산물을 다양하게 즐기고 있습니다. 현재, 2021년 기준으로 약 182종의 수산물을 섭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연간 소비량이 가장 많은 상위 10개의 수산물은 오징어(5.4㎏), 새우(4.5㎏), 멸치(4.2㎏), 굴(2.2㎏), 명태(2.1㎏), 고등어(1.5㎏), 다랑어(1.5㎏), 넙치(1.1㎏), 갈치(1.0㎏), 낙지(0.7㎏)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국산 수산물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식탁은 글로벌화된 상황입니다. 오징어의 경우에는 칠레, 페루, 중국산이 대세이며, 최근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수입량이 전년 대비 4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서아프리카 문어, 노르웨이 고등어, 세네갈 갈치, 베트남 주꾸미와 같은 수산물을 식탁에서 마주하게 되는 것도 흔한 일이 되었습니다. 식탁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수산물 무역적자는 갈수록 늘어가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수산물 수출액은 116억 3905만 달러, 수입액은 275억 9900만 달러로 누적 적자가 159억 5995만 달러(약 17조 142억 원)에 이르렀습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산물을 소비하는 나라이지만, 국산 수산물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 대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미 법무부, 구글 반독점 소송 다음주 시작 23.09.08
- 다음글서울 한강공원,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 및 일회용 컵 보증금제 도입 23.09.08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김한*
정말 대책없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