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재 기업인 탑머티리얼즈, LFP 양극재 개발 및 양산에서 시장 선점
국내 업체들의 NCM (리튬·코발트·망간) 양극재와 중국 업체들의 LFP (리튬·인산·철) 양극재가 전기차와 ESS (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기업들인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등이 LFP 양극재에 집중하여 개발 및 양산을 계획하고 있는 모습이다. LFP 양극재의 개발에 대한 수요는 자동차 고객사들로부터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산 LFP 양극재의 사용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규제로 어려워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기회가 되고 있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업체인 탑머티리얼즈가 LFP 양극재 개발 및 양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탑머티리얼즈는 현재 ESS용 LFP 배터리 양극재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공장에서 2024년 말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첫 공장의 생산능력은 약 3000t이며, 약 1.5GWh에 해당한다.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인 아워넥스트에너지와도 현재 ESS용 형태로 납품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탑머티리얼즈의 양산 시점은 국내 다른 양극재 업체들보다 약 1년 정도 빠른 편이지만,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탑머티리얼즈가 다른 양극재 기업들보다 빠른 양산 시점을 앞당길 수 있었던 이유는 대표인 노환진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노환진 대표는 삼성SDI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며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경험을 쌓았으며, 삼성전자의 애니콜에도 참여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탑머티리얼즈는 LFP 배터리의 생산에 빠르게 도입되어 성공적인 양산을 이루고 있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업체인 탑머티리얼즈가 LFP 양극재 개발 및 양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탑머티리얼즈는 현재 ESS용 LFP 배터리 양극재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공장에서 2024년 말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첫 공장의 생산능력은 약 3000t이며, 약 1.5GWh에 해당한다.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인 아워넥스트에너지와도 현재 ESS용 형태로 납품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탑머티리얼즈의 양산 시점은 국내 다른 양극재 업체들보다 약 1년 정도 빠른 편이지만,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탑머티리얼즈가 다른 양극재 기업들보다 빠른 양산 시점을 앞당길 수 있었던 이유는 대표인 노환진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노환진 대표는 삼성SDI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며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경험을 쌓았으며, 삼성전자의 애니콜에도 참여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탑머티리얼즈는 LFP 배터리의 생산에 빠르게 도입되어 성공적인 양산을 이루고 있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설탕 ETF 투자자, 설탕 가격 급등에 희비 23.11.14
- 다음글"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의 이동식 매장, 달리는 백화점 지하 디저트매장" 23.11.14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김한*
정말 대책없네요.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