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평가 톱10 기업 중 하자 판정을 가장 많이 받은 업체 15곳

최근 5년간 아파트 하자 판정을 가장 많이 받은 업체 15곳 중 5곳이 시공능력평가 톱10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2019~2023년 건설사별 공동주택 하자 판정 현황에 따르면 DL건설이 899건으로 하자 판정 건수가 가장 많았다.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로 철근 논란을 부른 GS건설은 2위(678건)였다. 중흥토건(626건), HDC현대산업개발(444건), 두산건설(403건)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대우건설(374건), 롯데건설(344건), DL이앤씨(283건), SM상선(267건), 대방건설(263건), 호반산업(241건), 계룡건설산업(228건), 현대건설(214건), 한양(180건), 대명종합건설(179건) 등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15개 업체 중 현대건설(2위), 대우건설(3위), GS건설(5위), DL이앤씨(6위), 롯데건설(8위) 등은 올해 시공능력평가 순위에서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기업이다. HDC현대산업개발(11위), DL건설(13위), 대방건설(14위), 중흥토건(15위), 계룡건설산업(18위) 등은 20위 안에 포함된다.
하자 판정 건수 상위 15개 업체 가운데 하자 심사 접수 건수(하자 수 기준)는 GS건설이 3141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흥토건(2167건), HDC현대산업개발(1955건)이 뒤를 이었다.
국토부는 공동주택 하자를 놓고 사업 주체와 입주자 간 분쟁이 있을 경우 이를 조정해주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한다. 하자심사분쟁조정위의 판정은 법원 판결과 같은 효력을 지니는 만큼 하자로 판정하면 사업 주체는 하자 보수를 이행해야 하며 불이행 시 벌금과 손해배상을 지불해야 한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하자 판정을 많이 받은 기업들의 시공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향후 건설사들은 하자를 예방하고 신뢰성 있는 공동주택 건설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2019~2023년 건설사별 공동주택 하자 판정 현황에 따르면 DL건설이 899건으로 하자 판정 건수가 가장 많았다.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로 철근 논란을 부른 GS건설은 2위(678건)였다. 중흥토건(626건), HDC현대산업개발(444건), 두산건설(403건)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대우건설(374건), 롯데건설(344건), DL이앤씨(283건), SM상선(267건), 대방건설(263건), 호반산업(241건), 계룡건설산업(228건), 현대건설(214건), 한양(180건), 대명종합건설(179건) 등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15개 업체 중 현대건설(2위), 대우건설(3위), GS건설(5위), DL이앤씨(6위), 롯데건설(8위) 등은 올해 시공능력평가 순위에서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기업이다. HDC현대산업개발(11위), DL건설(13위), 대방건설(14위), 중흥토건(15위), 계룡건설산업(18위) 등은 20위 안에 포함된다.
하자 판정 건수 상위 15개 업체 가운데 하자 심사 접수 건수(하자 수 기준)는 GS건설이 3141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흥토건(2167건), HDC현대산업개발(1955건)이 뒤를 이었다.
국토부는 공동주택 하자를 놓고 사업 주체와 입주자 간 분쟁이 있을 경우 이를 조정해주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한다. 하자심사분쟁조정위의 판정은 법원 판결과 같은 효력을 지니는 만큼 하자로 판정하면 사업 주체는 하자 보수를 이행해야 하며 불이행 시 벌금과 손해배상을 지불해야 한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하자 판정을 많이 받은 기업들의 시공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향후 건설사들은 하자를 예방하고 신뢰성 있는 공동주택 건설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ike
0
Upvote0
김샛*
정말이지 이런뉴스는 올리지 말아주세요.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김한*
창업뉴스라고 왔더니 창업에 관련된게 하나도 없네요.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