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탄소배출권 가격 사상 최저 수준에 떨어져, 착시효과로 분석"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 하락에 기업들 "착시효과" 분석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은 할당량 이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때 초과분만큼 탄소배출권을 구입해야 하는데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기업들의 배출권 수요가 줄어든 결과다. 하지만 이는 태풍으로 포스코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석유화학 업종이 불황을 겪은 데 따른 일종의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가 가장 활발한 2022년 배출권(KAU22) 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으로 1톤당 7400원으로, 1년 전(2만8000원)의 26% 수준에 불과하다. 작년 1월 초(3만5400원)와 비교하면 80%나 떨어졌다. 현재 시세는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 2015년 1월 12일 이후 최저로, 제도 시행 첫날 가격(8640원)보다도 낮다. 2023년 배출권(KAU23) 가격도 이날 1톤당 9000원으로 지난 4월 초(1만4650원)보다 38% 급락했다.
배출권 가격 하락은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입 수요가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3.5% 줄었다. 특히 산업부문은 6.2%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일종의 착시효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는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6% 줄었는데, 이는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가동이 3개월간 멈춘 영향이 크다.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대한유화(전년 대비 -23.6%), LG디스플레이(-19.7%), 현대오일뱅크(-14.1%), 롯데케미칼(-12.0%) 등은 업황 악화로 공장 가동률을 낮추거나 감산한 곳이다. 다시 말해, 경기가 좋아지면 탄소 배출 증가 압력이 재차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국이 문재인 정부 때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추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탄소배출권 가격 하락으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전년 대비 배출량이 줄어든 만큼 배출권 가격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현재 상황을 반영하여 탄소배출 가격을 재조정하고,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은 할당량 이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때 초과분만큼 탄소배출권을 구입해야 하는데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기업들의 배출권 수요가 줄어든 결과다. 하지만 이는 태풍으로 포스코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석유화학 업종이 불황을 겪은 데 따른 일종의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가 가장 활발한 2022년 배출권(KAU22) 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으로 1톤당 7400원으로, 1년 전(2만8000원)의 26% 수준에 불과하다. 작년 1월 초(3만5400원)와 비교하면 80%나 떨어졌다. 현재 시세는 배출권 거래를 시작한 2015년 1월 12일 이후 최저로, 제도 시행 첫날 가격(8640원)보다도 낮다. 2023년 배출권(KAU23) 가격도 이날 1톤당 9000원으로 지난 4월 초(1만4650원)보다 38% 급락했다.
배출권 가격 하락은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줄면서 시장에서 탄소배출권 구입 수요가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3.5% 줄었다. 특히 산업부문은 6.2%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일종의 착시효과라고 주장하고 있다. 배출량 1위 기업인 포스코는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6% 줄었는데, 이는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 가동이 3개월간 멈춘 영향이 크다.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대한유화(전년 대비 -23.6%), LG디스플레이(-19.7%), 현대오일뱅크(-14.1%), 롯데케미칼(-12.0%) 등은 업황 악화로 공장 가동률을 낮추거나 감산한 곳이다. 다시 말해, 경기가 좋아지면 탄소 배출 증가 압력이 재차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국이 문재인 정부 때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37% 감추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탄소배출권 가격 하락으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전년 대비 배출량이 줄어든 만큼 배출권 가격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현재 상황을 반영하여 탄소배출 가격을 재조정하고,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살해 협박과 폭발물 테러 유혹이 서울시 도서관에 대한 위협으로 발생 23.08.08
- 다음글한국남부발전, 태풍 대비 발전설비 현장점검 23.08.08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