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물재앙, 왜 댐 건설이 미뤄졌나?
포항 물재앙, 댐 건설 비판과 환경단체 반발로 예방 실패
작년 9월, 태풍 힌남노가 경북 포항을 강타하면서 포항시 일대가 큰 피해를 입었다. 포항시를 흐르는 냉천이 범람하여 주민 7명이 사망하고, 포스코 공장도 중단되는 등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 상황에서 오천읍 항사리 일대에 소규모 댐이 있다면 사고를 미리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포항시는 이미 2016년부터 항사댐 건설을 정부에 요청했지만, 당시 문재인 정부는 댐 건설에 비판적이었고 환경단체도 반발하였다. 결국, 이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한 끝에 작년 12월에야 댐 건설 작업이 간신히 시작되었다.
이번 홍수로 인한 피해도, 충분한 댐이나 보를 조성하고 하천 관리와 준설을 제대로 했다면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대강 본류와는 달리, 그동안 하천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지류와 지천에서 치수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댐 건설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들과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국내에는 다목적댐이 총 20개 있는데, 2000년 이후 건설된 것은 군위댐, 김천부항댐, 성덕댐, 보현산댐, 영주댐 등 5개뿐이다. 현재 진행 중인 사업도 한강 유역 원주천댐, 낙동강 유역 봉화댐, 포항 냉천 상류에 짓는 항사댐 등 3개뿐이며, 항사댐은 2026년에 예정되어 있다. 원주천댐은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되었지만, 환경단체의 반발로 인해 소송까지 진행되었고, 2019년에야 간신히 착공되었다. 댐 높이를 높이거나 바닥의 흙과 자갈 등을 파내는 준설작업을 통해 댐의 저수용량을 늘리는 "댐 리모델링"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지속적인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댐 건설과 하천 정비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환경보호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책과 상호 협의가 필요하다. 환경단체와 정부는 이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협력과 소통을 통해 자연재해 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작년 9월, 태풍 힌남노가 경북 포항을 강타하면서 포항시 일대가 큰 피해를 입었다. 포항시를 흐르는 냉천이 범람하여 주민 7명이 사망하고, 포스코 공장도 중단되는 등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 상황에서 오천읍 항사리 일대에 소규모 댐이 있다면 사고를 미리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포항시는 이미 2016년부터 항사댐 건설을 정부에 요청했지만, 당시 문재인 정부는 댐 건설에 비판적이었고 환경단체도 반발하였다. 결국, 이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한 끝에 작년 12월에야 댐 건설 작업이 간신히 시작되었다.
이번 홍수로 인한 피해도, 충분한 댐이나 보를 조성하고 하천 관리와 준설을 제대로 했다면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대강 본류와는 달리, 그동안 하천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지류와 지천에서 치수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댐 건설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들과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국내에는 다목적댐이 총 20개 있는데, 2000년 이후 건설된 것은 군위댐, 김천부항댐, 성덕댐, 보현산댐, 영주댐 등 5개뿐이다. 현재 진행 중인 사업도 한강 유역 원주천댐, 낙동강 유역 봉화댐, 포항 냉천 상류에 짓는 항사댐 등 3개뿐이며, 항사댐은 2026년에 예정되어 있다. 원주천댐은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되었지만, 환경단체의 반발로 인해 소송까지 진행되었고, 2019년에야 간신히 착공되었다. 댐 높이를 높이거나 바닥의 흙과 자갈 등을 파내는 준설작업을 통해 댐의 저수용량을 늘리는 "댐 리모델링"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지속적인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댐 건설과 하천 정비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환경보호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책과 상호 협의가 필요하다. 환경단체와 정부는 이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협력과 소통을 통해 자연재해 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기후위기 대응과 한반도의 가뭄과 홍수: 역사와 대책 23.09.01
- 다음글S&P와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하향에 동참할까? 23.09.01
이동*
정말 최고예요!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김홍*
이게 나라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