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임금근로자 대상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분석 알림
서울에 거주하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8명의 비율로 일·생활 균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10명 중 7명은 일·생활 균형 지원 정책이 출산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습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지난해 8월부터 9월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20~49세 임금근로자(상용직 및 임시직) 2113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평균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가장 적은 37시간이었고, 30대와 40대는 각각 40.7시간과 42.1시간이었습니다. 주당 통근시간은 6.9시간으로, 20대가 가장 짧은 6.4시간이었고, 30대와 40대는 7.1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주당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장시간 노동자의 비율은 15%였습니다.
서울시 20~40대 임금근로자들에게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인 일·생활균형 제도는 육아휴직으로 31.7%가 선택했습니다. 반면에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인 제도는 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제도로 11.6%가 선택했습니다. 육아휴직과 관련해 동료의 부정적 반응을 경험한 비율은 39.1%였으며, 승진이나 평가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응답률은 33.9%이고, 직장 상사의 부정적 요구를 경험한 응답률은 33.2%였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에서 운영하는 유연근무제도 이용 경험으로는 재택근무제도가 33.6%로 가장 높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시차출퇴근제도(25.7%)와 탄력적 근로시간제도(23%)가 이어졌습니다. 유연근무제도 이용 후의 가장 큰 변화로는 집에서의 휴식시간 증가가 57.5%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활동 증가 경험 역시 46%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결과는 임금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요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이를 바탕으로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지난해 8월부터 9월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20~49세 임금근로자(상용직 및 임시직) 2113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평균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가장 적은 37시간이었고, 30대와 40대는 각각 40.7시간과 42.1시간이었습니다. 주당 통근시간은 6.9시간으로, 20대가 가장 짧은 6.4시간이었고, 30대와 40대는 7.1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주당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장시간 노동자의 비율은 15%였습니다.
서울시 20~40대 임금근로자들에게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인 일·생활균형 제도는 육아휴직으로 31.7%가 선택했습니다. 반면에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인 제도는 가족돌봄 등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제도로 11.6%가 선택했습니다. 육아휴직과 관련해 동료의 부정적 반응을 경험한 비율은 39.1%였으며, 승진이나 평가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응답률은 33.9%이고, 직장 상사의 부정적 요구를 경험한 응답률은 33.2%였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에서 운영하는 유연근무제도 이용 경험으로는 재택근무제도가 33.6%로 가장 높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시차출퇴근제도(25.7%)와 탄력적 근로시간제도(23%)가 이어졌습니다. 유연근무제도 이용 후의 가장 큰 변화로는 집에서의 휴식시간 증가가 57.5%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활동 증가 경험 역시 46%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결과는 임금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요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이를 바탕으로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서울시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발표 24.01.04
- 다음글NCT 도영, 맥도날드 행운버거 출시 기념 포토행사 참석 24.01.04
김샛*
정말이지 이런뉴스는 올리지 말아주세요.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