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역사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한 지 석 달여 만에 유엔군과 대한민국군은 서울을 수복했다. 그해 10월 9일, 38선을 넘어 북진에 성공한 이후, 중국군은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압록강을 넘어왔다. 그러나 영국은 확전을 원치 않아 북부 어딘가에 완충지대를 마련하자는 아이디어인 비무장지대를 제안했다.
최근 신간은 한모니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역사를 DMZ를 중심으로 조명한 책이다. 그러나 완충지대를 마련하는 아이디어가 왜 실현되지 않았는지를 알게 된다면, 미국의 반대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활동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중국의 참전도 무시하고 자신감에 차 있었다. 맥아더는 합참에 보낸 전문에서 "(영국이) 북한의 한 지역을 중국에 양보함으로써 중공을 달래려 한다"며 "중공의 침략 행위에 굴복해 북한 지역의 일부라도 넘겨준다면, 이는 자유세계가 최대 패배를 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11월이 되자 상황은 급변했다. 중국군의 반격은 격렬해졌고, 12월 서부전선을 책임지던 미8군은 대패를 당해 38선까지 철수해야 했다. 이로써 미국 워싱턴도 휴전과 비무장지대 설치를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51년 7월 10일, 휴전을 위한 본회담이 개최되었다.
이 책은 DMZ의 역사를 상세하게 정리한 것으로, 전략서가 아닌 역사서로서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최근 신간은 한모니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역사를 DMZ를 중심으로 조명한 책이다. 그러나 완충지대를 마련하는 아이디어가 왜 실현되지 않았는지를 알게 된다면, 미국의 반대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활동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중국의 참전도 무시하고 자신감에 차 있었다. 맥아더는 합참에 보낸 전문에서 "(영국이) 북한의 한 지역을 중국에 양보함으로써 중공을 달래려 한다"며 "중공의 침략 행위에 굴복해 북한 지역의 일부라도 넘겨준다면, 이는 자유세계가 최대 패배를 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11월이 되자 상황은 급변했다. 중국군의 반격은 격렬해졌고, 12월 서부전선을 책임지던 미8군은 대패를 당해 38선까지 철수해야 했다. 이로써 미국 워싱턴도 휴전과 비무장지대 설치를 심각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51년 7월 10일, 휴전을 위한 본회담이 개최되었다.
이 책은 DMZ의 역사를 상세하게 정리한 것으로, 전략서가 아닌 역사서로서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메소드 혁명: 연기의 탄생과 진화 23.12.16
- 다음글현대자동차, 폐어망 업사이클링으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23.12.16
김한*
창업뉴스라고 왔더니 창업에 관련된게 하나도 없네요.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