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의 수 및 차입금 규모, 부실위험에 대한 관측 결과 발표"
5년 이상 한계기업이 900곳이 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기업의 차입금은 50조원에 달한다. 한계기업 사이에는 자산 규모와 업종에 따라 부실위험 등 건전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구조조정이나 지원 정책 시 개별 기업의 회생 가능성을 종합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을 기준으로 한계기업은 분석 대상 외감기업의 15.5%를 차지하는 3,903곳이다. 이는 전년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였다. 이 중 23.1%가 5년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되어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이들 기업의 차입금은 50조원이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하회하여 그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취약한 상태가 3년 이상 지속된 기업을 말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한계기업 분류 상태가 5년 이상 연속된 기업을 의미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외감기업과 한계기업에 비해 부실위험이 더 높아, 향후 정상기업(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되는 비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2년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은 5.67%로 외감기업(0.88%)과 한계기업(3.26%)의 부실위험보다 크게 나타났다. 실제로 2021년에 신규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중 22.6%가 2022년에 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된 반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경우에는 9.9%만이 정상기업으로 회복됐다.
부동산업의 경우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현금흐름 수준이 크게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입...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을 기준으로 한계기업은 분석 대상 외감기업의 15.5%를 차지하는 3,903곳이다. 이는 전년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였다. 이 중 23.1%가 5년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되어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이들 기업의 차입금은 50조원이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하회하여 그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취약한 상태가 3년 이상 지속된 기업을 말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한계기업 분류 상태가 5년 이상 연속된 기업을 의미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외감기업과 한계기업에 비해 부실위험이 더 높아, 향후 정상기업(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되는 비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2년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은 5.67%로 외감기업(0.88%)과 한계기업(3.26%)의 부실위험보다 크게 나타났다. 실제로 2021년에 신규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중 22.6%가 2022년에 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된 반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경우에는 9.9%만이 정상기업으로 회복됐다.
부동산업의 경우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현금흐름 수준이 크게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입...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정책 강화 필요, 경제 성장 방해 23.09.27
- 다음글이재명 구속영장 기각에 이 대표 테마주 급등 23.09.27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김한*
좋은 뉴스 담아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