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와 디자인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 전략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한국 기업들
한중 간의 외교적 갈등은 이전보다 더 커진 상황이다. 이로 인해 삼성, 현대차 등 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철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무역의 20%를 차지하는 14억 인구의 중국 시장은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 기업과 디자인 기업들이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2017년부터 3년 동안 중국 상해를 거점으로 중국 전역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했던 필자는 중국 시장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고자 한다.
먼저, CHINA RED와 문화적 상대성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중국에 가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국의 공항이나 기차역 외부에 도시 이름이 적힌 붉은색(차이나 레드)의 대형 싸인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특히 밤에 도착한 사람들은 이 싸인물을 보며 위압감과 더불어 묘한(?) 문화적 우월감을 느낄 수도 있다. 필자도 중국 정착 초기에는 문화적 우월감을 가지기도 했지만, 이런 인식은 잘못되었음을 금새 깨닫게 되었다.
차이나 레드는 중국을 상징하는 색깔로, 중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색깔이다. 명절에는 홍빠오(붉은색 봉투)에 세뱃돈을 넣어주기도 한다. 또한 많은 글로벌 브랜드들도 차이나 레드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는 중국의 오성홍기를 모티브로 한 125,000달러(한화 약 1.7억 원)의 버킨백을 출시하여 중국인들의 애국심에 호소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중국인들의 화려하고 강렬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문화적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태지와 아이들이 입던 추억의 브랜드 보이 런던(BOY LONDON)은 중국인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킨 바 있다. 실제로 필자는 중국의 부동산 개발회사의 회장에게 낮은 채도의 파스텔톤의 디자인 시안을 제안했을 때 거절당한 경험이 있다. 중국인들은 더 화려하고 강렬한 스타일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중국 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이고 큰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어려움도 많다. 중국의 문화와 소비자 성향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고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회복해야 한다. 그래야만 이전처럼 중국의 경제 성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한중 간의 외교적 갈등은 이전보다 더 커진 상황이다. 이로 인해 삼성, 현대차 등 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철수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무역의 20%를 차지하는 14억 인구의 중국 시장은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 기업과 디자인 기업들이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2017년부터 3년 동안 중국 상해를 거점으로 중국 전역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했던 필자는 중국 시장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고자 한다.
먼저, CHINA RED와 문화적 상대성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중국에 가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국의 공항이나 기차역 외부에 도시 이름이 적힌 붉은색(차이나 레드)의 대형 싸인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특히 밤에 도착한 사람들은 이 싸인물을 보며 위압감과 더불어 묘한(?) 문화적 우월감을 느낄 수도 있다. 필자도 중국 정착 초기에는 문화적 우월감을 가지기도 했지만, 이런 인식은 잘못되었음을 금새 깨닫게 되었다.
차이나 레드는 중국을 상징하는 색깔로, 중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색깔이다. 명절에는 홍빠오(붉은색 봉투)에 세뱃돈을 넣어주기도 한다. 또한 많은 글로벌 브랜드들도 차이나 레드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는 중국의 오성홍기를 모티브로 한 125,000달러(한화 약 1.7억 원)의 버킨백을 출시하여 중국인들의 애국심에 호소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중국인들의 화려하고 강렬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문화적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태지와 아이들이 입던 추억의 브랜드 보이 런던(BOY LONDON)은 중국인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킨 바 있다. 실제로 필자는 중국의 부동산 개발회사의 회장에게 낮은 채도의 파스텔톤의 디자인 시안을 제안했을 때 거절당한 경험이 있다. 중국인들은 더 화려하고 강렬한 스타일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중국 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이고 큰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어려움도 많다. 중국의 문화와 소비자 성향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고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회복해야 한다. 그래야만 이전처럼 중국의 경제 성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
0
비추천0
- 이전글문재인 전 대통령, 한-일 경제상황은 "일본의 부상, 한국 경제의 위기" 23.10.27
- 다음글쏘카, 엘에스컴퍼니와 제휴하여 투어패스 구매 고객에게 할인 혜택 제공 23.10.27
이동*
정말 최고예요!
김샛*
정말이지 이런뉴스는 올리지 말아주세요.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