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산업기상도 전망: 제약·바이오 맑음, 반도체·자동차 구름조금, 건설 비

제약·바이오 맑음, 반도체·자동차 구름조금, 건설 비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10개 주요 업종별 협·단체들과 2024년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를 실시해 발표했다. 주요산업 전반에 수출회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세부 전망은 업종별로 희비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바이오업종은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의 증가세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현재 국내에서 1800여개 이상의 신약 후보물질이 개발 중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부의 산업 육성 기조강화를 위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 K-바이오 백신 펀드 결성, 한국형 ARPA-H 추진 등이 이뤄지고 있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기계, 디스플레이 등은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모두 구름조금으로 예보됐다.
반도체산업은 업황 개선이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업계는 내년에 모바일·서버 등 IT 전방 수요 회복으로 올해 대비 13.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반도체 수출은 올해보다 15% 내외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반도체산업협회는 미국 등 주요국들이 큰 규모의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는 만큼,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업종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수요 정상화와 하반기 금리 인하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올해 대비 1.9% 증가한 275만대 수준의 수출 규모로 전망된다. 친환경차, SUV 등 고가 차량 수출 증가도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의 전기차 저가 공세와 일본의 하이브리드차 해외 판매 강화 등 경쟁 상황을 주의해야 한다.
건설업종은 비로 예보됐다.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과 국토부의 사회적 가치 창출 사업 등을 통해 일부 지역에서는 수요가 회복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분야에서는 경기 둔화와 공공투자 감소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기부양을 위해 건설 관련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은 각 분야의 전망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약·바이오 업종의 신약 개발과 반도체 업계의 정책 지원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10개 주요 업종별 협·단체들과 2024년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를 실시해 발표했다. 주요산업 전반에 수출회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세부 전망은 업종별로 희비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바이오업종은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의 증가세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현재 국내에서 1800여개 이상의 신약 후보물질이 개발 중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정부의 산업 육성 기조강화를 위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 K-바이오 백신 펀드 결성, 한국형 ARPA-H 추진 등이 이뤄지고 있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기계, 디스플레이 등은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모두 구름조금으로 예보됐다.
반도체산업은 업황 개선이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업계는 내년에 모바일·서버 등 IT 전방 수요 회복으로 올해 대비 13.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반도체 수출은 올해보다 15% 내외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반도체산업협회는 미국 등 주요국들이 큰 규모의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는 만큼,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업종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수요 정상화와 하반기 금리 인하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올해 대비 1.9% 증가한 275만대 수준의 수출 규모로 전망된다. 친환경차, SUV 등 고가 차량 수출 증가도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의 전기차 저가 공세와 일본의 하이브리드차 해외 판매 강화 등 경쟁 상황을 주의해야 한다.
건설업종은 비로 예보됐다.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과 국토부의 사회적 가치 창출 사업 등을 통해 일부 지역에서는 수요가 회복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분야에서는 경기 둔화와 공공투자 감소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기부양을 위해 건설 관련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은 각 분야의 전망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약·바이오 업종의 신약 개발과 반도체 업계의 정책 지원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Like
0
Upvote0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홍한*
이런 소식 정말 좋아요.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No comments y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