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과대학,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에너지공과대학, 초전도체 활용한 기술 개발 협약 체결
한국에너지공과대학(Korea University of Energy and Technology)은 지난 5월 퀀텀에너지연구소와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해당 물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박진호 한국에너지공대 부총장은 MOU 주도자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 초기 단계로 데이터를 외부에 공개할 수준은 아니며 분석에는 약 6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더라도 기존 소재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해당 물질에 대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보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는 약 1개월 후에 다양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
[총 1500자]
한국에너지공과대학(Korea University of Energy and Technology)은 지난 5월 퀀텀에너지연구소와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해당 물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박진호 한국에너지공대 부총장은 MOU 주도자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 초기 단계로 데이터를 외부에 공개할 수준은 아니며 분석에는 약 6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더라도 기존 소재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초전도체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해당 물질에 대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보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는 약 1개월 후에 다양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
[총 1500자]
Like
0
Upvote0
- Prev더벤티, 부산에서 열리는 2023 영도 월드 트라이애슬론 컵 및 2030 부산 엑스포 기원 콘서트 스폰서로 참여
- Next금호석유화학과 코오롱플라스틱의 영업이익 70% 감소, 불황 속에서도 어려움
신영*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 멋지네요
박성*
좋은 정보 담아갑니다.
한혜*
정말 미래적인 기술이네요.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No comments yet.





